맨위로가기

아일랜드 공화국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은 아일랜드 독립과 북아일랜드 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무장 단체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1919년 아일랜드 독립 전쟁 시기 결성된 '구 IRA'를 시작으로, 아일랜드 내전, 북아일랜드 분쟁 등을 거치며 여러 분파로 분열되었다. 주요 분파로는 임시 IRA, 공식 IRA, 진짜 IRA, 연속 IRA 등이 있으며, 각 분파는 아일랜드의 독립 및 통일을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1990년대 이후 평화 협상을 통해 임시 IRA는 무장 투쟁을 종결했으나, 일부 분파는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IRA의 역사는 아일랜드의 민족주의, 종교, 정치적 갈등을 보여주는 사례로, 국제 분쟁 연구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 공화국군 - 마이클 콜린스 (정치인)
    마이클 콜린스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의 지도자이자 아일랜드 자유국의 장관로서, 뛰어난 조직력과 전략적 사고로 아일랜드 독립 운동의 중심 인물이 되었으나, 아일랜드 내전 중 암살당했다.
  • 아일랜드 공화국군 - 아일랜드 공화국군 참모총장
    아일랜드 공화국군 참모총장은 1917년부터 아일랜드 공화국군의 여러 분파에서 배출된 최고 지휘관으로, 아일랜드 독립 전쟁, 내전, 북아일랜드 분쟁 등 격동의 시기에 IRA를 이끌었다.
아일랜드 공화국군

2. 역사적 배경

브렌던 베한은 모든 아일랜드 조직의 첫 번째 의제가 "분열"이라고 말했다.[3] IRA 역시 잦은 분열을 겪었다. 1921년 영-아일랜드 조약 체결 이후 조약 지지 세력은 아일랜드 자유국의 국군의 핵심이 되었고, 조약 반대 세력은 '아일랜드 공화국군'이라는 이름을 유지하며 아일랜드 내전 (1922-1923)을 치렀다.[4]

내전 이후에도 IRA는 1969년 공식 IRA와 임시 IRA로 분열될 때까지 40년 이상 존속했다. 임시 IRA는 다시 진짜 IRA와 지속 IRA로 분열되었는데, 이들은 각각 아일랜드 공화국의 진정한 후계자라고 주장했다.

IRA라는 이름을 사용한 다양한 단체와 몇몇 관련 단체의 연대기를 나타낸 그림.


"구 IRA"로 알려진 아일랜드 공화국군 (1919–1922)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에서 싸운 공로를 인정받아 아일랜드 공화국의 합법적인 군대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영-아일랜드 조약 체결 이후, IRA는 조약 지지 세력과 반대 세력으로 분열되어 내전을 겪게 되었다.[4]

아일랜드 공화국군 (1922–1969)는 내전에서 패배한 조약 반대 IRA로, 아일랜드 자유국과 북아일랜드를 인정하지 않고 영국 제국주의의 산물로 간주했다.

2. 1. IRA 창설까지

1858년 미국 뉴욕에서 아일랜드 이민자들이 비밀 결사인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IRB)을 창설, 더블린의 민족파 조직과 합병하여 아일랜드 섬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1907년에는 아일랜드 문화 부흥 운동을 내걸고 정치 활동을 하던 신 페인당도 세력을 확대했다. 1913년 프로테스탄트계 친영 연합파가 얼스터 의용군(UVF)을 결성하자, IRB, 신 페인당, 아일랜드 국민당은 이에 대항하기 위해 아일랜드 의용군(IV)을 설립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IRB는 통합 아일랜드 공화군(JIRA)을 조직하고 독일 제국으로부터 무기와 탄약을 조달하기 위한 비밀 활동을 시작했다.[6]

2. 2. 부활절 봉기와 독립 전쟁

1916년 더블린에서 부활절 봉기가 일어났지만, 병력과 탄약 부족, 시민들의 지원 부족으로 6일 만에 진압되었다. 봉기 직후 영국 총독부는 봉기 주모자 16명을 즉결 군사 재판으로 처형했는데, 이는 아일랜드 시민들의 동정심을 불러일으켰다. 봉기에 소극적이었던 신 페인당은 시민들의 동정을 이용하여 1918년 총선에서 의석을 늘리며 약진했다. 1919년 1월, 신페인당은 도일 에이런(아일랜드 국민 의회) 설립에 착수하고 마이클 콜린스를 군사 담당으로 임명했다. 임시 정부 국방 장관 카할 블루허는 아일랜드 의용군을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으로 개칭했다.[7] 이후 콜린스의 지도 하에 대영 투쟁이 전개되었고, 1921년 임시 정부 수반 에이먼 데 발레라와 영국 총리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간의 수뇌 회담을 통해 평화가 성립되었다(영아일랜드 조약).

영아일랜드 조약의 결과, 영국 연방 내에서 영국 왕을 국가 원수로 하는 자치령 "아일랜드 자유국"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완전한 독립 공화국 설립을 목표로 했던 데 발레라 등은 조약 체결에 반대하며 아서 그리피스, 콜린스 등 조약파와 대립했다. 그 결과 IRA는 자유국군에 편입되는 그룹과 데 발레라파로 분열되었다.[8] 국민 투표에서 데 발레라 등 반조약파가 패배하자, IRA는 무장 봉기하여 내전이 더블린을 중심으로 확산되었고, 콜린스도 암살되었다.[9] 1921년, 내전을 구실로 얼스터 의회는 자유국으로부터의 이탈을 선언했고, 아일랜드는 남북으로 분리되었다.

2. 3. 내전, 자유국 성립과 국토 분열

1921년 영국 연방 내에서 영국 왕을 국가 원수로 하는 자치령 아일랜드 자유국이 성립되었지만, 완전한 독립 공화국 설립을 목표로 에이먼 데 발레라 등은 조약 체결에 반대했고, 아서 그리피스나 마이클 콜린스 등 조약파와 대립했다.[8] 그 결과 IRA는 자유국군에 편입되는 그룹과 데 발레라파로 분열되었다. 조약 찬반을 묻는 국민 투표에서 데 발레라 등 반조약파가 패배하자, IRA는 무장 봉기하여 내전이 더블린을 중심으로 확산되었고, 콜린스도 정체불명의 자에 의해 살해되었다.[9] 같은 해, 내전을 구실로 북아일랜드 의회는 자유국으로부터의 이탈을 선언했고, 아일랜드는 남북으로 분리되었다.

내전 후 정부의 탄압[10]으로 인해 IRA는 쇠퇴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아일랜드는 공식적으로 중립 입장을 취했지만, IRA는 이 시기에 나치스의 원조를 구하며 대표자가 독일에 건너가는 등, 북아일랜드에 대한 공격에 대해 대독 협력했다는 지적도 있다.

2. 4. IRA 임시파의 분열과 북아일랜드 분쟁

1969년, 북아일랜드 문제가 격화되면서 IRA는 무장 투쟁 노선을 강화한 임시파(Provisional IRA)와 정치적 해결을 추구한 공식파(Official IRA)로 분열되었다.[12] 임시파는 북아일랜드에서 로열 얼스터 경찰과 영국군, 영국의 기관 및 경제적 목표에 폭력을 행사하며 북아일랜드 분쟁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했다.[12]

1972년 1월 30일 런던데리에서 발생한 피의 일요일 사건을[13] 배경으로 임시파는 세력을 확장했다. 1976년 3월 13일 "영국 시민에 대한 공격을 강화한다"고 선언한 후, 런던 시내 철도에 폭탄 테러를 시작으로[14] 영국 본토(브리튼 섬)에서도 테러를 일으켰다. 1984년 10월 브라이튼 폭탄 테러 사건과 같이 왕실 및 정부를 표적으로 한 테러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한 무차별 테러도 자행했다. 런던의 시티나 도클랜즈 지역과 같은 경제 중심지에서도 대규모 폭탄 테러를 감행했으며, 맨체스터, 버밍엄 등 지방 도시에서도 테러를 일으켰다.

소련리비아의 군사적 지원을 받아 투쟁을 계속한 임시파는[12] 스페인ETA, 이탈리아붉은 여단과 같은 극좌 테러 조직과도 교류했다. 그러나 냉전 종식과 미국 9.11 테러 이후 테러 조직에 대한 단속이 강화되면서 임시파에 대한 지원은 줄어들었다.

마거릿 대처 정권은 강경 대응과 동시에 평화 노력을 모색했고, 1990년대 존 메이저 정권에서 평화 움직임이 가속화되었다. 1993년 12월 영국과 아일랜드 정부는 신 페인당의 지위를 인정하고 평화 협상 참여 조건으로 IRA에게 휴전을 요구했다. 1994년 8월 임시파는 휴전을 선언했으나, 1996년 깨졌다. 1997년 7월 20일 재휴전 후, 토니 블레어 총리 하에 평화 프로세스가 가속화되어 1998년 4월 10일 벨파스트 협정이 성립되었다. 아일랜드는 국민 투표를 통해 북아일랜드 영유권 주장을 포기했다.[12]

2000년 2월 영국 정부는 자치 정부 기능을 정지하고 직할 통치를 부활시켰으나, 같은 해 5월 임시파는 단계적 무장 해제를 표명하고, 2005년 7월 25일 무장 해제가 확인되었으며, 7월 28일 무장 투쟁 종결을 선언했다.[12]

2. 5. 평화 협상과 무장 해제

1990년대, 영국과 아일랜드 공화국 정부는 평화 협상을 추진했고, 1998년 벨파스트 협정이 체결되었다.[12] 국민투표 이후에도 평화 협정에 포함된 아일랜드 공화국군의 무장 해제가 진전되지 않자, 2000년 2월 영국 정부는 자치 정부의 기능을 정지하고 직할 통치를 부활시키는 강경 조치를 취했다.[12] 같은 해 5월 IRA 임시파는 단계적인 무장 해제를 표명하고 독립 국제 무장 해제 위원회의 수용에도 응했다. 2005년 7월 25일에는 동 위원회에 의해 무장 해제가 확인되었으며, 7월 28일 무장 투쟁의 종결을 선언하고 실질적인 활동을 정지했다.[12]

그러나 CIRA(지속 IRA)와 RIRA(진정한 IRA)는 합의에 여전히 반대하며 산발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12] 특히 RIRA는 설립 직후부터 북아일랜드에서 차량 폭탄을 이용한 무차별 테러를 반복했다. 1998년 오마 쇼핑가에서 일어난 무차별 테러에서는 29명의 시민이 사망, 200명 이상이 부상당했는데, 이는 지난 30년간 북아일랜드 분쟁에서 발생한 단일 폭탄 테러 중 최대 희생자를 낸 사건이었다. RIRA는 발칸 반도에서 암스테르담을 경유하여 아일랜드 및 영국으로 무기를 밀수하는 데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으며, 밀수품 중에는 RPG-22와 같은 대전차 무기도 포함되어 있다. 2000년 9월 20일에는 런던 중심부의 비밀 정보부(MI6) 본부 8층에 대전차 무기가 발사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2007년 5월, UVF의 활동 정지 선언과 개신교계 및 가톨릭계가 권한을 분담하는 형태의 북아일랜드 자치 정부 부활이 실현된 후, CIRA 및 RIRA의 활동 정지 선언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일부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은 그러한 선언 예정이 없다고 즉시 부인했으며, 최종적인 결말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한편, 2003년 11월 북아일랜드 자치 의회 선거에서는 IRA 임시파의 정치 조직인 신 페인당이 사전에 무장 해제 선언을 실시한 덕분에 약진하여, 사회민주노동당(SDLP)을 제치고 가톨릭계(민족주의 계) 제1당이 되었다. 2007년 1월에는 기존 입장을 바꿔 경찰에 대한 협력을 당 대회에서 결의했으며, 같은 해 3월 자치 의회 선거에서는 신 페인당이 더 많은 의석을 확보했다. 그해 5월 부활한 자치 정부에서 신 페인당은 가톨릭계 제1당으로서 부수상 등 주요 직책을 맡게 되었다.

2017년 11월 현재, IRA 임시파의 무장 활동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브렉시트로 인해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간 국경 관리가 재개될 경우, RIRA와 CIRA를 비롯한 과격파의 무장 투쟁이 다시 시작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3. 주요 분파

IRA는 여러 차례 분열을 겪으며 다양한 분파가 등장했다. 극작가이자 전 IRA 회원이었던 브렌던 베한은 모든 아일랜드 조직의 첫 번째 의제는 "분열"이라고 말했다.[3]

분파분열 시기설명
구 IRA1919년 - 1922년아일랜드 독립 전쟁에서 싸웠으며, 영-아일랜드 조약 이후 조약 지지파와 반대파로 분열.
아일랜드 공화국군 (1922–1969)1922년 - 1969년아일랜드 내전에서 패배한 조약 반대 IRA 세력. 이후 북아일랜드아일랜드 자유국 모두를 인정하지 않음.
공식 IRA (OIRA)1969년임시 IRA 분열 이후 남은 세력. 주로 마르크스주의 성향.
임시 IRA (PIRA)1969년공식 IRA에서 분리. 북아일랜드에서 주로 활동하며, 좌익 정치 성향 발전.
지속 IRA (CIRA)1986년임시 IRA에서 분리. 불참주의 정책 종료에 반발.
진짜 IRA (RIRA)1997년임시 IRA에서 분리.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에 반대.
새 IRA2012년진짜 IRA와 다른 공화주의 단체들의 합병으로 형성.



3. 1. 구 IRA (1919-1922)

1916년 부활절 봉기가 진압된 후, 아일랜드 시민들은 봉기 주모자들에 대한 영국 정부의 즉결 처형에 동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신 페인당이 인기를 얻어 1918년 총선에서 의석을 늘렸고, 1919년 1월 도일 에이런 (아일랜드 국민 의회)을 설립하며 마이클 콜린스를 군사 담당으로 임명했다. 임시 정부 국방 장관 카할 블루허는 아일랜드 의용군을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으로 개칭했다. 이는 군사 부문에 대한 콜린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리더의 사병으로 전락할 것을 우려한 신 페인당 간부들이 공화국의 군대로서의 자각을 촉구하기 위해 개칭했다는 설도 있다.[7]

콜린스의 지도 하에 IRA는 대영 투쟁을 벌였고, 1921년 임시 정부 수반 에이먼 데 발레라와 영국 총리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간의 수뇌 회담을 통해 평화가 성립되었다 (영아일랜드 조약). 이 조약으로 영국 연방 내에서 영국 왕을 국가 원수로 하는 자치령 "아일랜드 자유국"이 성립되었지만, 완전한 독립 공화국 설립을 목표로 한 데 발레라 등은 조약 체결에 반대하며 아서 그리피스, 콜린스 등 조약파와 대립했다.

결국 IRA는 자유국군에 편입되는 그룹과 데 발레라파로 분열되었다.[8] 국민 투표에서 반조약파가 패배하자, IRA는 무장 봉기하여 내전이 발발했고, 콜린스도 암살당했다.[9] 1921년에는 내전을 구실로 얼스터 의회가 자유국으로부터 이탈을 선언하면서 아일랜드는 남북으로 분리되었다.

3. 2. 아일랜드 공화국군 (1922-1969)



아일랜드 내전에서 패배한 조약 반대파 IRA 세력이다. 리암 린치의 지휘 하에, 이들은 마이클 콜린스가 지휘하는 자유국의 국민군을 상대로 아일랜드 내전을 벌였으며, 에몬 데 발레라가 이끄는 '''신 페인'''의 반 조약 세력의 지원을 받았다.[6]

내전 패배 몇 년 후, 데 발레라가 이끄는 세력이 '''신 페인'''에서 사임하고 1926년에 '''피아나 페일''' 당을 설립했으며, 이는 아일랜드 공화국에서 가장 큰 정당 중 하나가 되었다.

1930년대에, 북아일랜드 내에서 조직된 '''구 IRA'''의 일부를 포함한 IRA의 나머지 세력은 영국에서의 폭탄 테러, 북아일랜드에서의 캠페인 (북부로의 지도력 변화 이후) 및 자유국 (후에 아일랜드 공화국)에서의 몇 가지 군사 활동을 시도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아일랜드는 공식적으로 중립의 입장을 취했지만, IRA는 이 시기에 나치스의 원조를 구하며 대표자가 독일에 건너가는 등, 북아일랜드에 대한 공격에 대해 대독 협력했다는 지적도 있다.

독일과 같은 추축국일본싱가포르를 함락시키자, IRA 간부로 후에 상원 의장이 된 톰 말린스 등이 더블린 주재 일본 영사를 둘러싸고 축하회를 열었다. 이 외에 아일랜드 정부도 대전 중 일본의 재유럽 외교 거점에 송금을 편의를 제공하는 등 지원했다.[11]

3. 3. 공식 IRA (OIRA)

공식 IRA (OIRA)는 1969년 임시 IRA에서 분열된 후 남은 IRA로, 주로 마르크스주의적인 정치 성향을 띠었다.[3] 현재는 활동하지 않으며, 그 정치 조직인 공식 신 페인은 노동자당 (아일랜드)이 되었다. 1960년대 국경 캠페인 실패 이후, 신 페인은 마르크스주의 계급 투쟁적 관점으로 이동했다. 더블린 폭동이 발발하면서, 임시 IRA와 임시 신 페인이 결성된 이후 '공식 IRA' / '공식 신 페인'으로 불리게 된 신 페인은 영국 정부에 군사적으로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배제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공식 IRA는 쇠퇴했고, 공식 신 페인은 순전히 마르크스주의적인 입장으로 이동하여 먼저 '신 페인 노동자당'으로, 1982년에는 '노동자당'으로 이름을 변경했다.[3]

3. 4. 임시 IRA (PIRA)

1969년 공식 IRA에서 분리된 임시 IRA(PIRA)는 불참주의와 북아일랜드의 폭력 증가에 대처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견해 때문에 발생했다.[3] 공식 IRA의 마르크스주의에 반대했지만, 좌익 정치 성향을 발전시켰으며 정치 활동도 증가시켰다.

IRA 임시파는 북아일랜드 문제가 격화되던 1969년, 내부 분열로 인해 완전한 무장 투쟁주의를 주장하는 파벌이 형성되면서 등장했다. 이들은 1970년대부터 1990년대에 걸쳐 '북아일랜드 분쟁'에서 가장 중요한 세력으로 여겨졌다.[12] 1971년 치안 당국의 일제 구금(인턴먼트)과 1972년 1월 30일 런던데리에서 발생한 "피의 일요일 사건" 등을 배경으로 세력을 확대했다. 이들은 프로테스탄트계 무장 조직, 북아일랜드 주둔 영국군 및 북아일랜드 경찰(대부분 프로테스탄트 교도)에 게릴라 공격을 감행했다.

1976년 3월 13일, "영국 시민에 대한 공격을 강화한다"고 선언한 후, 런던 시내 철도를 표적으로 한 폭탄 테러를 시작으로[13] 영국 본토(브리튼 섬)에서도 테러를 확대했다. 1984년 10월 "브라이튼 폭탄 테러 사건"[14] 등 왕실, 정부, 일반 시민을 가리지 않고 무차별적인 테러를 자행했다. 런던의 시티나 도클랜즈 지역과 같은 경제적 요충지, 맨체스터, 버밍엄 등 지방 도시에서도 대규모 폭탄 테러를 일으켰다(영어 위키백과의 연표 참조). 그러나 영국의 탄압에 대한 반감으로 북아일랜드 가톨릭계 주민들 사이에서 IRA 임시파에 대한 지지는 굳건했다.[1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구도 속에서 IRA 임시파는 소련과 리비아로부터 군사적 지원을 받았고, 스페인ETA, 이탈리아붉은 여단 등 극좌 테러 조직과도 교류했다. 그러나 냉전 종식과 9.11 테러 이후 테러 조직에 대한 단속 강화로 이러한 지원은 사라졌다.

마거릿 대처 정권의 강경 대응에도 불구하고 평화 노력은 계속되었고, 1990년대 존 메이저 정권에서 가속화되었다. 1993년 12월, 영국과 아일랜드 정부는 신 페인당의 지위를 인정하고 평화 협상 참여 조건으로 IRA에게 휴전을 요구하는 선언(다운 스트리트 선언)을 발표했다. 1994년 8월, IRA 임시파는 휴전을 선언했다.[12] 1996년에 휴전이 깨지기도 했지만, 1997년 7월 20일에 다시 휴전했다.[12] 토니 블레어 총리 취임 후 평화 프로세스가 가속화되어 1998년 4월 10일 벨파스트 협정이 성립되었고, 아일랜드는 국민 투표를 통해 북아일랜드 영유권 주장을 포기했다.[12]

2000년 2월, 영국 정부는 IRA의 무장 해제 지연을 이유로 자치 정부 기능을 정지하고 직할 통치를 부활시켰다.[12] 이에 IRA 임시파는 단계적 무장 해제를 표명하고 독립 국제 무장 해제 위원회를 수용했다. 2005년 7월 25일 무장 해제가 확인되었고, 7월 28일 무장 투쟁 종결을 선언하며 실질적인 활동을 정지했다.[12]

그러나 CIRA(지속 IRA)와 RIRA(진정한 IRA)는 합의에 반대하며 산발적인 활동을 계속했다.[12] 특히 RIRA는 1998년 오마 쇼핑가 테러 등 무차별 테러를 자행했다.

2007년 5월, 북아일랜드 자치 정부가 부활했지만, CIRA와 RIRA의 활동 중단 여부는 불투명했다. 한편, IRA 임시파의 정치 조직인 신 페인당은 2003년과 2007년 자치 의회 선거에서 약진하여 가톨릭계 제1당이 되었고, 2007년 부활한 자치 정부에서 부수상 등 요직을 맡았다.

2017년 11월 현재, IRA 임시파의 무장 활동은 확인되지 않지만, 브렉시트로 인한 국경 관리 재개 시 과격파의 무장 투쟁 재연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3. 5. 지속 IRA (CIRA)

Continuity Irish Republican Army영어 (CIRA)는 1986년 임시 아일랜드 공화국군(PIRA)에서 불참주의 정책 종료에 반발하여 분리된 분파이다.[3] 이들은 아일랜드 공화국의 권위를 인정하는 것을 거부했다. CIRA는 벨파스트 협정에 반대하며 무장 투쟁을 지속하고 있다.[12]

3. 6. 진짜 IRA (RIRA)

1997년 임시 IRA에서 분리된 분파로, 벨파스트 협정에 반대하며 무장 투쟁을 지속하고 있다.[12] 1998년 오마 쇼핑가에서 차량 폭탄 테러를 일으켜 29명의 시민을 사망시키고 200명 이상에게 부상을 입히는 등[12] 북아일랜드에서 무차별 테러를 반복했다. 이 사건은 과거 30년간의 북아일랜드 분쟁에서 단일 폭탄 테러로 최대 희생자를 낸 사건이었다. 진짜 IRA는 발칸 반도에서 암스테르담을 경유하여 아일랜드 및 영국으로 무기를 밀수하는데, 밀수품 중에는 RPG-22와 같은 대전차 무기도 있었다. 2000년 9월 20일에는 런던 중심부의 비밀 정보부(MI6) 본부에 RPG-22가 발사되기도 했다.

2007년 5월, 얼스터 의용군(UVF)의 활동 정지 선언과 개신교계와 가톨릭계가 권한을 분담하는 형태의 북아일랜드 자치 정부 부활 이후, CIRA 및 RIRA의 활동 정지 선언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으나, 이들은 그러한 선언 예정이 없다고 부인했다.

2012년에는 마약에 대한 공화당 행동 (RAAD)을 포함한 다른 공화주의 단체와 합병하여 새 IRA를 결성했다. 2017년 브렉시트로 인해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간의 국경 관리가 재개된다면, RIRA와 CIRA를 비롯한 과격파의 무장 투쟁이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3. 7. 새 IRA

2012년, 진짜 IRA는 마약에 대한 공화당 행동 (RAAD)을 포함한 다른 공화주의 단체들과 합병하여 새 IRA를 결성했다.[5]

4. 현대적 의의

IRA의 역사는 아일랜드 독립과 통일 운동의 복잡성을 보여준다. 특히, 북아일랜드 문제는 민족, 종교, 정치적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사례로, 국제 분쟁 연구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1998년 벨파스트 협정 이후 평화 정착 과정에서 IRA 임시파는 2005년 무장 투쟁 종결을 선언하고 실질적인 활동을 정지했다.[12] 그러나 RIRA(진정한 IRA)와 CIRA(지속 IRA) 등 일부 분파는 여전히 무장 투쟁을 지속하며 테러를 일으키고 있다.[12] 1998년 오마 쇼핑가에서 일어난 무차별 테러는 29명의 시민을 사망하게 했고, 200명 이상에게 부상을 입혔다. 이는 30년간의 북아일랜드 분쟁에서 단일 폭탄으로 최대 희생자를 낸 사건이었다.

2007년 북아일랜드 자치 정부가 부활한 후에도 CIRA와 RIRA 등의 활동 중단 선언은 없었으며, 이들의 향후 행보는 불투명하다. 한편, IRA 임시파의 정치 조직인 신 페인당은 2003년2007년 북아일랜드 자치 의회 선거에서 약진하여 가톨릭계 제1당으로 부상했으며, 자치 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017년 이후 브렉시트로 인해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간 국경 관리가 재개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RIRA와 CIRA를 비롯한 과격파의 무장 투쟁이 다시 시작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참조

[1] 뉴스 Origins of the IRA name http://ansionnachfio[...] 2015-05-18
[2] 서적 Britain and Ireland, 1914–23 Gill and Macmillan 1983
[3] 뉴스 Primates' creative ambiguity averts schism http://www.irishtime[...] 2009-03-15
[4] 논문 Violence against women in the Irish Civil War, 1922–3: gender-based harm in global perspective https://www.cambridg[...] 2020-05
[5] 뉴스 Former Provos claim Kerr murder and vow more attacks http://www.belfastte[...] 2011-04-23
[6] 뉴스 Irish Republican Army (IRA) {{!}} Irish military organization https://www.britanni[...] 2017-09-04
[7] 문서 イースター蜂起で既にこの傾向があった。
[8] 문서 1990年代まで活動していたIRAはこのデ・ヴァレラ派の系列である。
[9] 문서 コリンズを暗殺したのが誰だったのか、そもそも偶発的な「戦死」ではないかなど、その死をめぐる状況には諸説あるが、暗殺だったとして、反条約派によるとする説、イギリス軍によるとする説などがある。
[10] 문서 デ・ヴァレラも首相になった途端に弾圧に転じた。
[11] 뉴스 日本びいきのアイリッシュ 大戦「シンガポール陥落」…首都では日本領事囲み祝賀会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7-02-05
[12] 웹사이트 IRA(아이아르에이)란 https://kotobank.jp/[...] 2020-04-11
[13] 뉴스 地下鉄で爆弾テロ ロンドン IRAか 朝日新聞 1976-03-16
[14] 문서 保守党の党大会会期中にマーガレット・サッチャー首相を標的としてホテルに爆弾を設置したもの。
[15] 웹사이트 クランベリーズ「Zombie」MVがアイルランド出身のバンドとしては初の快挙となる10億回再生を達成 https://www.udiscove[...] 유니버설 뮤직 2020-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